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건의 확정되는건가

 오늘 안그래도 힘든 하루였는데 갑자기 희소식이 전달되었습니다. 5월 6일 그러니 다음주 금요일이지요. 이날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는데요. 해당 의견은 오늘에 앞선 2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하였는데요. 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건의를 정부에게 했다고 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5월 5일은 어린이날로 이미 공휴일인데요. 이날은 목요일로 만약 그 바로 다음날인 5월 6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이 된다면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무려 4일의 연휴가 생기는 것입니다.




 대한상의가 이처럼 5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자고 하는 이유는 임시공휴일을 지정함으로 국내 소비촉진과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라는데요. 대한상공회의소는 작년 광복절의 전날인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여 얻은 경제적 효과가 상당하였음을 근거로 들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모든 조사기관에서 측정한 수치가 다르겠지만 일부 조사기관에서는 약 1조원에 이르는 경제적 효과가 있었다고 밝히기도 하였는데요.



 그런데 말입니다. 저는 갑자기 의문이 들더군요. 우리나라하면은 역시나 OECD 중 근로시간이 많기로 유명하고 회사에서도 직원들을 잘 놀리려고 하지 않는데 어째서 재계가 한목소리로 5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자고 하다니요.





 어쩌면 이러한 의견들은 경제를 생각한다기보다는 기업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선지도 모릅니다. 직원들이 휴가를 쓰지 않음으로 자신들이 감당해야할 연차휴가 수당때문인데요. 물론 직원들이 휴가를 가기 싫어서 안간다기보다는 회사의 분위기 혹은 불경기가 그 이유였을텐데요. 이렇게 임시공휴일을 지정하게 되면은 어쨌거나 좋든 싫든 직원들은 놀게 되니 기업이 지급해야 할 연차수당이 줄어드게 되니 기업들에겐 이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 어찌되었든 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건의가 받아들여져 놀게 된다면 다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번 5월 6일엔 거의 모든 학교들에서 재량휴업일로 지정하여 놀게 되었거든요. 애들도 노는데 부모님들도 같이 시간을 보내야 의미있는게 아니겠습니까? 속내가 어찌되었건 이번 기회에 4일 연휴기간 동안 아이들과 만들지 못했던 추억을 만드는 것도 좋겠지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