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2016 추석 기차표 예매 실패했어도 기회 또 있음
요즘 바빠서 예약하는 것을 깜빡했다. 일전에도 그랬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여하튼 올해는 일정기간 내에서만 추석 연휴 기간 기차표 예매가 가능하였다. 빨간날 하루 전인 2016년 9월 13일 화요일부터 9월 18일 일요일까지 6일이 그 대상기간이었으며 예매일자는 노선마다 달랐다.
아.. 오늘 실패했는데 어떡하지?
경부, 경북, 대구, 충북, 경전, 경의, 경원, 동해선 그리고 동해남부선의 경우는 8월 17일 수요일(오늘) 레츠 코레일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06시부터 12시까지 예매가 가능하였고, 역승차권 판매대리점에서는 09시부터 11시까지 가능하였다.
혹여 호남, 전라, 중앙, 장항, 영동, 태백 그리고 경춘선을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8월 18일 목요일(내일) 역시나 같은 시간 같은 판매 매체로 예매가 가능하니 아직 기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코레일 추석예매 노하우 별 거 없다.
하지만 필자가 알기로는 17일 수요일 오늘 예매가 가능했던 노선을 대부분 이용하시는 걸로 안다. 물론 나도 그렇고... 그런 분들은 어떻해 해야할까? 다행히도 기회는 남아있다.
잔여석 승차권 판매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일자는 16년 8월 22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다.
잔여석 승차권 판매 개시일은 22일 월요일이다.
이날 10시부터 잔여석이 많이 나오면은 다행이지만 아마도 추석 연휴라는 특별한 기간에 표가 그렇게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혹시나 모른다는 생각에 필요 이상의 예매를 한 분들이 취소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암표도 한 몫을 한다...)
22일 10시에 잔여석이 없어 실패하더라도 세번째 기회는 있다.
그러나 16년 8월 18일 목요일 16시부터 22일 월요일 24시까지 결제를 하지 않으면은 자동으로 취소가 된다. 그렇기에 22일 24시가 지난 25일 오전 12시에 대량의 잔여석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아마 많은 분들이 잔여석 판매 시작시간인 22일 월요일 오전 10시만을 생각할텐데 25일 오전 12시가 리얼 꿀 잔여석을 챙길 수 있는 시간일 것이다.
별 것 아니지만 이것도 코레일 추석예매 노하우 중 하나이다. 그리고 아직 예매를 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꿀팁을 더욱 알려드리자면은 코레일 서버시간을 알고서 대기타는 것이 좋다. 각자 컴퓨터의 시간을 보고 되면은 좋지만 사이트마다 서버시간이 사실은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다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만능 시간 사이트.
코레일 서버시간 사이트는 정말 많아서 금방 찾지만은 귀찮은 분들을 위해서 링크를 걸어두자면 다음과 같다.(http://time.navyism.com/) 해당 사이트에서 상단에 주소를 넣는 부분에 코레일 홈페이지 사이트를 복사 후 붙여넣기하고 fight를 누르면은 해당 사이트 서버시간이 아래에 뜬다.
기차 자주 안타시는 분들은 리얼 당황잼.
그리고 오랜만에 예매를 하실 분들을 위해 코레일 2016 추석 기차표 예매 노하우를 추가적으로 꼽자면은 레츠 코레일 멤버쉽번호(회원번호)를 미리 알아둘 것을 꼽고싶다. 필자도 오랜만에 로그인을 할려니 막상 기억이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처음에는 평소에 다른 사이트들에서 쓰는 일반적인 아이디를 넣었다가 안되서 당황했다는...) 만약 예매 시간이 급한데 갑자기 회원번호 때문에 타이밍을 놓쳤다는 딥빡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공인인증서도 레알 딥빡이었다. 유효기간이 항상 1년이라서 한동안 쓰지 않으면 기간이 만료되어 쓰지 못하기 때문이다. 재발급 혹은 갱신을 하는데 꾀나 시간이 걸리니 예매 전 미리 준비하는 것도 코레일 추석예매 노하우라고 할 수 있다.
현장예매 정말 전쟁이다.
이렇게 예매를 할 바에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게 좋다.
마지막으로 패기 넘치던 시절 추석 기차표 예매 따위는 하지 않았던 필자가 쓰던 꿀팁도 있다. 그냥 기차역에 무작정 가는 것이다. 분명 시작 전에 무슨 일이 생기거나 하여 탑승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돈이 아깝지 않은 금수저가 아니라면 이런 분들은 분명 취소를 하는데 덕분에 출발 전 이런 자리들이 몇자리는 나온다.
틈새시장을 노리자.
이런 취소석들은 아침처럼 이른 시간대에 더욱이 많이 나온다. 아마도 늦잠 혹은 이른 아침 뇌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에 무엇을 빠져먹고 나오느라 다시 집을 가는 등 문제가 많이 생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